title
stringlengths 1
37
| context
stringlengths 348
10k
| question
stringlengths 5
146
| id
stringlengths 11
13
| answer
dict |
---|---|---|---|---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뉴델리 메탈로-베타락타마제 (New Delhi metalo-beta-lactamase, NDM-1) 는 박테리아가 카바페넴 (carbapenem)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하는 유전자이다. 산물은 베타락탐 가수분해 효소 (beta-lactamase) 중 하나인 카바페넴아제 (carbapenemase)다. 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박테리아는 2010년 들어 언론 매체에서 슈퍼버그라는 이름으로 보도되고 있다. 아직까지 NDM-1을 막기 위한 항생제는 개발이 되지 않은 상태다. 현재까지 이 유전자는 대장균 (E.coli)과 폐렴막대균 (Klebsiella pneumoniae) 일부 균주에서 발견되었으며, 수평적 유전자 이동 (horizontal gene transfer)을 통해 다른 균주 또는 종으로 넘어갈 수 있다.
|
2010년부터 언론에서 슈퍼 버그라고 보도되는 박테리아가 보유한 유전자의 이름은?
|
6490801-0-2
|
{
"text": "뉴델리 메탈로-베타락타마제",
"answer_start": 0
}
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유전자의 이름은 인도의 수도 뉴델리의 이름을 따 붙여졌는데, 이는 2009년 용 (Yong) 등이 처음 기록한 이 케이스의 환자가 인도에서 처음 박테리아 감염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. 박테리아 감염 치료가 뉴델리 병원에서 실패로 끝난 후 그는 모국 스웨덴으로 송환되었으며, 그곳에서 카바페넴에 내성을 보이는 폐렴막대균의 유전자가 분리되었다. 용 등은 이 내성 메커니즘이 "분명히 인도에서 생겨났으나, 이것이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보여주는 데이터가 인도에 존재한다"라고 주장하였다. 보고된 바에 따르면 이 유전자는 파키스탄, 인도, 그리고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곳 병원에 입원했던 사람들에 의해 유럽으로 옮겨졌다. 그 중 대다수는 저가의 성형 수술을 위해 의료 관광을 떠났다가 수술 중 감염이 된 사람들이었다.
|
뉴델리 메탈로 베타락타마제의 이름은 어느 지역에서 유래되어 정해졌는가?
|
6467478-1-0
|
{
"text": "뉴델리",
"answer_start": 16
}
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유전자의 이름은 인도의 수도 뉴델리의 이름을 따 붙여졌는데, 이는 2009년 용 (Yong) 등이 처음 기록한 이 케이스의 환자가 인도에서 처음 박테리아 감염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. 박테리아 감염 치료가 뉴델리 병원에서 실패로 끝난 후 그는 모국 스웨덴으로 송환되었으며, 그곳에서 카바페넴에 내성을 보이는 폐렴막대균의 유전자가 분리되었다. 용 등은 이 내성 메커니즘이 "분명히 인도에서 생겨났으나, 이것이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보여주는 데이터가 인도에 존재한다"라고 주장하였다. 보고된 바에 따르면 이 유전자는 파키스탄, 인도, 그리고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곳 병원에 입원했던 사람들에 의해 유럽으로 옮겨졌다. 그 중 대다수는 저가의 성형 수술을 위해 의료 관광을 떠났다가 수술 중 감염이 된 사람들이었다.
|
뉴델리 메탈로 베타락마제가 처음 감염 된 지역은 어디인가?
|
6467478-1-1
|
{
"text": "인도",
"answer_start": 73
}
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2010년 8월, 저널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행해진 다국적 연구 결과가 실린 바 있다. 이 연구는 NDM-1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의 발생과 전파를 분석하였다. 연구에 사용된 케이스는 영국 37건, 첸나이 26건, 인도 하리아나 주 26건, 그 외 인도, 파키스탄의 여러 지역 73건 등이었다. 저자의 말에 따르면, 많은 균주들이 NDM-1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상에 가지고 있었으며, 이 때문에 균과 균 사이의 유전자 전달 (gene transfer)이 쉽게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. 연구 시 다뤄진 모든 균주는 베타-락탐계열 항생제, 퀴놀론 (quinolone) 계열 항생제,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으나, 대부분 폴리믹신 (polymyxin) 계열 항생제 콜리스틴 (colistin)에는 감수성을 보였다.
|
균은 유전자를 균에게 전달 할 수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나타낸 용어는 무엇인가?
|
6467478-2-0
|
{
"text": "유전자 전달",
"answer_start": 253
}
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2010년 8월, 저널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행해진 다국적 연구 결과가 실린 바 있다. 이 연구는 NDM-1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의 발생과 전파를 분석하였다. 연구에 사용된 케이스는 영국 37건, 첸나이 26건, 인도 하리아나 주 26건, 그 외 인도, 파키스탄의 여러 지역 73건 등이었다. 저자의 말에 따르면, 많은 균주들이 NDM-1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상에 가지고 있었으며, 이 때문에 균과 균 사이의 유전자 전달 (gene transfer)이 쉽게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. 연구 시 다뤄진 모든 균주는 베타-락탐계열 항생제, 퀴놀론 (quinolone) 계열 항생제,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으나, 대부분 폴리믹신 (polymyxin) 계열 항생제 콜리스틴 (colistin)에는 감수성을 보였다.
|
박테리아가 NDM-1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때 발생하는 전파를 분석하기위해 사용된 영국 케이스는 몇건인가?
|
6467478-2-1
|
{
"text": "37건",
"answer_start": 129
}
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2010년 8월, 저널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행해진 다국적 연구 결과가 실린 바 있다. 이 연구는 NDM-1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의 발생과 전파를 분석하였다. 연구에 사용된 케이스는 영국 37건, 첸나이 26건, 인도 하리아나 주 26건, 그 외 인도, 파키스탄의 여러 지역 73건 등이었다. 저자의 말에 따르면, 많은 균주들이 NDM-1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상에 가지고 있었으며, 이 때문에 균과 균 사이의 유전자 전달 (gene transfer)이 쉽게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. 연구 시 다뤄진 모든 균주는 베타-락탐계열 항생제, 퀴놀론 (quinolone) 계열 항생제,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으나, 대부분 폴리믹신 (polymyxin) 계열 항생제 콜리스틴 (colistin)에는 감수성을 보였다.
|
NDM-1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가 감수성을 보인 폴리믹슨 계열 항생제는?
|
6490801-2-0
|
{
"text": "콜리스틴",
"answer_start": 404
}
|
뉴델리_메탈로-베타락타마제
|
2010년 8월, 저널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행해진 다국적 연구 결과가 실린 바 있다. 이 연구는 NDM-1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의 발생과 전파를 분석하였다. 연구에 사용된 케이스는 영국 37건, 첸나이 26건, 인도 하리아나 주 26건, 그 외 인도, 파키스탄의 여러 지역 73건 등이었다. 저자의 말에 따르면, 많은 균주들이 NDM-1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상에 가지고 있었으며, 이 때문에 균과 균 사이의 유전자 전달 (gene transfer)이 쉽게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. 연구 시 다뤄진 모든 균주는 베타-락탐계열 항생제, 퀴놀론 (quinolone) 계열 항생제,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으나, 대부분 폴리믹신 (polymyxin) 계열 항생제 콜리스틴 (colistin)에는 감수성을 보였다.
|
2010년 8월, NDM-1 유전자를 가진 박테리아의 발생과 전파를 분석한 다국적 연구 결과를 실은 저널은?
|
6490801-2-1
|
{
"text": "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",
"answer_start": 13
}
|
Subsets and Splits
No community queries yet
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.